인증절차
KTS 인증은 체계화 된 절차 및 과정에 따라 심사를 진행합니다.

제출서류
인증 구분 | 인증별 추가 구비 서류 | 공통 |
---|---|---|
KTS-M | ․ 인증받고자 하는 원료 목록 ․ 원료 시험성적서 |
․ 인증신청서 ․ 사업자등록증 사본 |
KTS-F | ․ 공장인증신청서 ․ 공장등록증 사본 ․ 각종 사내표준 ․ 공장시설장비 목록 ․ 사용 염료안료류, 조제류, 화공약품류 목록 ․ 타 인증서 보유 목록 ․ 주요 생산 제품 목록 ․ 주요 생산 제품의 제조공정도 ․ KTS-M 인증 원료물질을 사용하여 제조된 경우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|
|
KTS-P | ․ 제품의 시험성적서 ․ KTS-F 인증 공장에서 제조된 제품의 경우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서류 |
공장심사 관련 현장평가 시 준비서류
No. | 준 비 사 항 | 비 고 |
---|---|---|
1 | 각종 사내표준 자료 |
- 일반 규정(조직/직무분장, 자격/교육훈련, 고객 불만처리, 기록관리규정 등) - 자재관리 규정(자재관리 및 인수검사, 구매업무, 부적합 자재관리) - 공정관리 규정 - 설비관리 규정 - 제품관리 규정(제품검사 및 관리, 부적합 제품 관리 규정) - 그 외 사내 비치 규정 |
2 | 국내・외 인증기관 발급 인증서 사본 | Blue Sign 등 |
3 | 물질안전보건자료 (MSDS) | 사용 화학물질에 대한 최신 자료 (최근 6개월 이내) |
4 | 취급 화학물질 생산자가 “유해성 없음”을 증명하는 자료 | ZDHC의 Positive List와 동일 (유해성 없다는 인증이나 내부자료 검토) |
5 | 원료, 생산품의 품질관리 관련 자료 | pH 등의 시험성적서 또는 관련 데이터 |